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r
- ADsP
- 자격증
- 코딩테스트
- 파이썬
- 이것이 코딩테스트다
- Google ML Bootcamp
- pytorch
- 딥러닝
- sklearn
- 이코테
- tableau
- SQL
- scikit learn
- 데이터 분석
- pandas
- 통계
- 데이터분석
- 데이터분석준전문가
- 시각화
- 데이터 전처리
- Deep Learning Specialization
- SQLD
- Python
- 머신러닝
- IRIS
- matplotlib
- 회귀분석
- 태블로
- ML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결정계수 (1)
함께하는 데이터 분석

오늘은 SSE와 결정계수(R^2)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저번 시간에 SSE에 대해서 알아봤는데 오늘은 2가지 model에 대해 SSE를 알아보겠습니다. M_0 model의 SSE m_0 model은 독립변수인 x_i가 없는 모델입니다. 빨간색 x표시가 observation인데 Y축 위에 있는 것을 볼 수 있죠. 이때 SSE는 위와 같습니다. SSE는 Sum of Square Estimation의 약자이죠. M_1 model의 SSE M_1 model이 우리가 알고 있는 simple linear regression입니다. M_1의 SSE가 우리가 말하는 일반적인 SSE입니다. M_0과 M_1 model의 SSE비교 observarion에서 회귀선으로 내린 선분의 제곱한 값이 SSE인 것은 다들 알고 계실..
통계학과 수업 기록/회귀분석
2022. 4. 3. 17:10